top of page
검색

로또에 당첨되면 세금 얼마나 낼까?

로또 1등에 당첨되면 ‘인생 역전’이라는 말이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첨금 전액을 고스란히 수령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면 큰 착각입니다. 당첨금에는 ‘세금’이라는 벽이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 글에서는 로또 당첨 시 적용되는 세율 구조와 등수별 세금, 실수령액 계산 방법까지 현실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특히 1등, 2등, 3등 당첨자에게 부과되는 소득세 구조를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다루며, 많은 분들이 오해하기 쉬운 4등, 5등 당첨금의 과세 여부도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로또 당첨금, 과연 세금은 얼마나 떼일까?


당첨금도 소득이다


복권 당첨금은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세금이 부과됩니다. 다만, 일반적인 근로소득과 달리 원천징수 방식으로 세금이 미리 공제된 뒤 실수령액이 지급되므로, 별도의 신고 절차는 필요 없습니다​.


등수별 로또 세금 계산법


1등 – 고액 당첨에 따르는 고세율

1등 당첨금이 3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 3억 원 이하 금액: 22% (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 3억 원 초과 금액: 33% (소득세 30% + 지방소득세 3%)

예를 들어, 당첨금이 약 28억 6,885만 원일 경우, 세금으로 약 9억 1,372만 원이 원천징수되며, 실제 수령액은 약 19억 5,513만 원입니다​.


2등 – 3억 원 이하라면 단일세율


2등 당첨금은 보통 3억 원 이하이기 때문에 22% 단일세율이 적용됩니다. 예시로 당첨금이 6,520만 원일 경우, 세금 약 1,434만 원을 제하고 실수령액은 약 5,086만 원입니다​.


3등 – 여전히 세율 22%


3등 당첨금 역시 3억 원을 넘지 않기 때문에 22% 세율이 적용됩니다. 당첨금이 148만 원일 경우 약 32만 원이 세금으로 공제되고 실제 수령액은 116만 원 수준입니다​.


세금 없는 당첨도 있다 – 4등, 5등


4등(5만 원), 5등(5천 원) 당첨금은 5만 원 이하일 경우 과세 제외 대상으로, 세금이 없습니다. 이는 기타소득 중 과세 최저한 규정에 따라, 5만 원 이하 소득에는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실수령액만 믿고 지출계획 세우면 위험


로또 당첨금은 단순히 ‘얼마를 받는다’는 액수에만 집중해서는 안 됩니다. 실제 수령액을 기준으로 금융계획을 세워야 하며, 거액일수록 세금 부담도 커지므로 사전에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마무리


로또 당첨은 인생의 전환점이 될 수 있지만, 당첨금을 정확히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복권 당첨 시 세금 체계에 대한 이해는 필수이며, 무턱대고 소비를 계획하기보다는 실수령 기준으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진정한 인생 역전을 이룰 수 있습니다.


 
 
 

Comments


© 2035 by SociaLight.

Powered and secured by Wix

Be a SociaLight and  Follow Us:

  • White Facebook Icon
  • White Twitter Icon
  • White Instagram Icon
  • White YouTube Icon
  • White Pinterest Icon
bottom of page